스마트폰으로 기초연금 확인하는 방법

60세 이상 부모님과 어르신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기초연금 수령 여부 및 금액 확인 방법을 소개합니다. 컴퓨터 없이 스마트폰만 있으면 누구나 확인 가능하며, 연금 누락이나 미수령 여부도 손쉽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목차
- 1. 왜 확인해야 하나요?
- 2. 준비물 안내
- 3. 어디서 확인하나요?
- 4.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상세 절차
- 5. 자주 놓치는 포인트
- 6. 추가 정보: 못 받은 기초연금 환급 방법
- 7. 마무리 및 요약
1. 왜 기초연금을 확인해야 할까요?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어르신 중 일정 소득 기준을 만족하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금입니다. 최대 월 334,000원(2025년 기준)까지 지급되며, 1년에 400만 원 이상 받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소득입니다.
하지만 많은 어르신이 아래 이유로 확인하지 않고 놓치고 계십니다:
- 지급 여부를 몰라서 신청하지 않음
- 신청했지만 실제로 입금되었는지 확인 못 함
- 금액이 줄어들거나 중단됐는지도 모름
따라서, 매월 수급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필요한 준비물은 단 3가지

- 스마트폰 (갤럭시, 아이폰 모두 가능)
-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앱 (예: PASS, 카카오, NH, KB 등)
- 인터넷 연결 (Wi-Fi 또는 LTE)
이 세 가지만 있으면 어디서든 기초연금 확인이 가능합니다.
3. 기초연금 확인 가능한 공식 사이트
‘내연금’ 사이트 또는 앱은 국민연금공단에서 운영하는 공식 서비스입니다.
여기에서 본인의 연금 가입 내역, 수령 예정일, 기초연금 지급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스마트폰으로 기초연금 확인하는 상세 7단계

아래 절차를 그대로 따라 하시면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단계: 네이버 또는 구글에 ‘내연금’ 검색
- 2단계: 검색 결과에서 ‘내연금 홈페이지 (nps.or.kr)’ 클릭
- 3단계: 오른쪽 상단 ‘로그인’ 선택
- 4단계: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PASS, 카카오 등)으로 본인인증
- 5단계: 메인 화면에서 ‘나의 연금정보’ 클릭
- 6단계: 하단 ‘연금 지급 내역’ 또는 ‘기초연금 확인’ 메뉴 선택
- 7단계: 월별 수령액, 지급일자 확인 가능
추가로 ‘지급중지 사유’나 ‘지급보류 안내’가 있는 경우에는 자세한 설명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자주 놓치는 주의사항
- 매월 25일 이후에 조회해야 최신 수급 내역 확인 가능
- 공동인증서 없이도 간편인증 사용 가능 → 로그인 실패 줄이기
- 사이트 접속 오류가 있는 경우, 크롬 브라우저 또는 삼성 인터넷 앱 사용 권장
로그인에 자주 실패하거나 인증이 어려운 경우, 가족의 도움을 잠시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6. 기초연금을 못 받았을 경우 환급받는 방법
기초연금을 신청했는데 지급이 누락된 경우, 또는 수급 자격이 있음에도 신청을 안 한 경우, 아래 절차로 소급신청이 가능합니다.
- 1단계: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2단계: 기초연금 신청서 제출 및 소급지급 요청
- 3단계: 국민연금공단 심사 후 결과 통지
- 4단계: 최대 5년 이내 지급 누락분 환급 가능

단, 5년을 초과한 금액은 소멸 시효로 인해 지급되지 않을 수 있으니 빠른 확인이 중요합니다.
7. 마무리: 한 번 배워두면 매달 1분 확인 가능
기초연금은 나의 권리입니다. 어렵다고 생각하지 마시고, 스마트폰으로 한 번만 배우면 매달 직접 확인이 가능합니다. 소중한 연금이 누락되지 않도록, 이번 기회에 직접 확인해보세요.
'키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 수급자 건강보험료 지원 혜택 총정리 (1) | 2025.05.18 |
---|---|
기초연금 수급자 혜택 총정리 통신비·에너지바우처·일자리 지원까지 한눈에! (1) | 2025.05.16 |
2025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총정리 홈택스 사용법부터 절세 팁까지 완벽 가이드 (0) | 2025.05.09 |
2025 인터배터리 유럽 전시회 총정리 한국 배터리 기업 유럽 진출 전략과 관람 팁 (1) | 2025.05.08 |
2025년 더 메종(The Maison) 서울 전시회 총정리 인테리어 트렌드·참여 브랜드·사전등록 가이드 (21) | 2025.05.07 |